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서비스 노드 포트
    kubernetes 2023. 11. 1. 13:51
    nodeport: node자체에 포트에 열고 이 포트로 들어오는 트래픽을 pod로 리다이렉션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loadbalancer를 앞에 두고 nodeport 구현

    nodeport는 노드의 자체 포트를 사용해서 pod로 redirection
    loadbalancer는 외부 게이트웨이를 사용해서 노드포트로 redirection
    ingress: 외부에 별도의 리소를 만들어주고 이 리소스에 요청이  오면, 하나의 ip로 다수의 서비스 제공 (도메인 네임)
    loadbalancer는 L4 개념, ingress는 L7 개념
    ** L2 sw, L3 sw, L4 sw, L7 sw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http-go-svc
    spec:
      type: NodePort
      selector:
        app: http-go
      ports: 
        - port: 80
          targetPort: 8080
          nodePort: 30007

     

     

    생성 확인 후 delete 해주기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http-go
      labels:
        app: http-go
    spec:
      replicas: 10
      selector:
        matchLabels:
          app: http-go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http-go
        spec:
          containers:
          - name: http-go
            image: qkrwo8520/http-go
            ports:
            - containerPort: 8080
    ---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http-go-svc
    spec:
      type: NodePort
      selector:
        app: http-go
      ports:
        - port: 80
          targetPort: 8080
          nodePort: 30001

     

     

    생성 확인

     

     

    work1

     

     

    work2

     

    nodeport -> loadbalancer 으로 변경

     

     

    로드밸런스 가 된다..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드 포트 실습  (0) 2023.11.01
    mysql db 인중화  (0) 2023.10.31
    서비스 endpoints  (0) 2023.10.31
    서비스  (0) 2023.10.31
    버번패치 실습  (0) 2023.10.30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