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퍼블릭 클라우드 ,프라이빗 클라우드
    네트워크 기초 2023. 11. 21. 14:38

    퍼블릭 클라우드

    다수의 사용자와 조직이 인터넷을 통해 리소스를 공유하고 이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형태입니다. 이는 기업이나 개인이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업체로부터 컴퓨팅 리소스를 구매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모델을 나타냅니다.

     

    퍼블릭 클라우드이 제공방식

    laaS (Infra as a Service) : 서버(인프라)만 제공하는 서비스

    PaaS (Platform as a Service) : 서버와 플랫폼 (운영체제) 함께 제공하는 서비스

    SaaS (Software as a Service) : 광범위한 개념으로 풀 옵션이 적용된 서비스

    퍼블릭 클라우드 제공 형태 - 출처. KB증권

     

    - 퍼블릭 클라우드는 여러 사용자와 기업이 하나의 클라우드 인프라를 공유합니다. 이로써 각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가상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을 필요한 만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퍼블릭 클라우드는 필요에 따라 리소스를 신속하게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이는 특정한 부하가 발생할때 또는 비즈니스 요구가 변할 때 자원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업체가 인프라의 관리와 유지보수를 담당하므로, 사용자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보안 패치 등과 같은 작업을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프라이빗 클라우드

    특정 기업이나 조직을 위해 독점적으로 구축된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를 나타냅니다. 이는 해당 기업이나 조직이 자체적으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구축하고 운영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보안과 규정 준수 등 기업 내부에서의 제어와 관리가 용이하며, 퍼블릭 클라우드와 달리 인프라와 자원을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성능과 안정성이 보장 됩니다.

    -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전용 인프라를 사용하여 물리적, 가상적으로 분리된 환경에서 운영됩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기업이나 조직은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자체적으로 IT 자원을 제어하고 보안 및 규정 준수와 같은 중요한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습니다.

    - 전용 인프라를 사용하므로 높은 안정성과 보안성을 보장합니다. 기업이나 조직의 업무 지속성을 중요한 데이터와 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업이나 조직은 보안과 개인정보 보호 등과 같은 중요한 규정을 준수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3-Tier  (0) 2023.11.22
    Hyper -V  (0) 2023.11.22
    온프레미스 (on-Premise)  (0) 2023.11.21
    L4 L7 loloadbalancer 차이점  (0) 2023.11.01
    네트워크 단어 2  (0) 2023.10.10
Designed by Tistory.